서론
평온한 오전 또는 오후에 갑자기 태양이 점차 가려지며 어두워지는 현상을 경험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울 수 있는 월식이라는 현상이다. 이번에는 월식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월식의 조건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달이 지구 주위를 돌 때, 태양, 지구, 달의 순서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보름달 날에 월식이 관측됩니다. 그러나 달이 도는 궤도가 지구 주위의 궤도로부터 5도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월식이 항상 관측되는 것은 아닙니다. 즉, 월식은 항상 보름달에 일어나지만, 그 역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태양의 크기가 매우 크고 지구의 크기가 작아서 지구의 그림자에는 본영과 반영이 있는데, 본영에 달이 들어가면 개기월식 또는 부분월식이 일어나고 반영을 지날 때 반영월식이 발생합니다. 일식의 경우 특정 지역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데,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어 개기월식이 발생하면 밤에 지구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일식보다 훨씬 더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시간은 1시간 40분 정도로 일식보다 관측하기에 상당히 긴 편입니다.
궤도의 특성상 월식 발생 후 월식 또는 월식 발생 후 월식 형태로 서로 관계가 있습니다.
월식의 종류
1. 개기 월식 :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로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이때, 달은 지구에서 볼 때 완전히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검붉은 색으로 빛납니다.
2. 부분월식 : 달 일부만이 지구의 본그림자로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이때 달은 보름달이 되어서는 안 되는 상태로 보입니다. 다시 말해 보름달의 형태여야 하는데 반달이나 초승달의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3. 반영식 :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지나는 현상입니다. 이때 달의 밝기는 조금 어두워질 뿐 달의 모양은 거의 그대로입니다.
4. 반영 개기식: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인 가장 희귀한 월식입니다. 지구의 반그림자 간격이 본그림자보다 좁으므로 이런 종류의 월식은 일어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이펀 현상 (0) | 2024.06.03 |
---|---|
너 A형이야? 난 B형이라서 안 돼! 혈액 (0) | 2024.06.02 |
1,400도 쇳물에 손을 넣을 수 있을까?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0) | 2024.06.02 |
움직이고 있어요! 스트로보 효과 (0) | 2024.05.31 |
습윤한 공기가 건조한 공기로 되돌아오는, 푄 현상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