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지구에 사는 많은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필요하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 생물들이 살 수 있는 터전, 대사활동을 하기 위한 먹이, 호흡하기 위한 대기 등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있어야 생물들이 살아갈 수 있다. 이번에는 식물이 외계에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보내는 호흡, 광합성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광합성이란?
광합성은 생물이 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과정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식물과 조류, 남세균의 광합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산소를 방출하여 지구 대기의 산소 농도를 유지합니다.
광합성 과정
광합성은 과정에 따라서 에너지를 수확하고 저장하는데, 명반응과 암반응으로 나뉜다. 명반응은 물을 분해해서 수소와 산소로 나누고 산소는 외부로 방출한다. 그리고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18개의 ATP를 생성하고, ATP는 생물의 에너지 전달을 위해 이용한다. NADP는 분해된 수소와 결합하여 NADPH를 생성하고 이것들이 암반응으로 넘어가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에 쓰인다. 암반응은 빛이 필요없는 반응으로 이산화탄소와 NADPH의 수소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합성하며, 켈빈 회로를 돌려서 명반응의 부산물을 사용해 포도당을 합성한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모두 하나! 상태 변화 (0) | 2024.06.05 |
---|---|
너에게 갈 땐 더 큰소리로, 도플러 효과 (0) | 2024.06.04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사이펀 현상 (0) | 2024.06.03 |
너 A형이야? 난 B형이라서 안 돼! 혈액 (0) | 2024.06.02 |
1,400도 쇳물에 손을 넣을 수 있을까? 라이덴프로스트 효과 (0)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