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밝게 빛나고 있는 달을 볼 수 있다. 가끔 시골의 가로등이 없는 어두운 곳을 갔을 때 불빛이 하나도 없지만, 달빛에 의해 길이 잘 보이는 적을 경험한 적이 있다. 그렇다면 달은 스스로 빛을 내어 지구를 비추어 주는 것일까? 이번에는 달 달 무슨 달? 달에 대해 알아보자.
달?
행성과 같은 천체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천제를 위성이라고 하는데 달은 지구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위성이다. 달은 지구 반지름의 약 1/4의 크기를 가지고 따라서 지구 부피의 약 1/49배 만큼 작다. 한편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약 38만 km이며,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주기는 대략 27.3일이 걸린다. 지구에서 바라본 달은 항상 같은 면만 보이는데 이는 공전 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 바라본 달은 항상 같은 면만 볼 수 있다. 밤하늘에 바라본 달은 밝은 노란색 혹은 금색으로 보이지만 실제 달은 흰색, 회색에 가깝다. 달이 노란색으로 빛나는 까닭은 태양에서 오는 빛을 반사 시켜 지구에 비추기 때문에 실제 색깔이 아닌 노란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조석 현상, 지구 자전축의 움직임 안정화가 있다.
1. 조석 현상 : 조석 현상은 달과 태양의 중력으로 발생하는 기조력 때문에 해수면의 높낮이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바닷물이 밀려들어 오면 밀물, 빠져나가면 썰물이라고 합니다.
2. 지구 자전축의 안정화 : 만약 달이 없었다면 지구의 자전축 각도는 매우 크게 요동치며 지구에는 극단적인 날씨변화를 나타내게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달의 중력으로 지구와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축은 23.5도로 기울어져 안정화되어 돌 수 있게 해준다.
달의 위상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지구와 태양의 위치에 따라 보이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달의 위상은 크게 그믐달, 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로 표현할 수 있으며 위상은 한 달을 주기로 한 바퀴를 돌게 되는데 이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시간이 대략 27.3일 걸리기 때문입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섞어도 같은 모양으로 나오는 치약, 파스칼 원리 (0) | 2024.06.24 |
---|---|
현대인들의 시간과 건강을 책임진다! 전자레인지 (0) | 2024.06.23 |
아직도 나야, 백야 현상 (0) | 2024.06.15 |
좁은 곳에서 더 빠르게, 베르누이 원리 (0) | 2024.06.14 |
흔들리는 땅, 지진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