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환경

바다의 사막화, 백화현상

서론

무더운 여름철 우리는 더위를 피하고자 들뜬 마음으로 바다와 해수욕장을 찾아간다. 바다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곳이며 많은 생물이 살아가고 있는 터전이다. 이런 바다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막이라는 단어가 함께 공존할 때가 있는데 이번에는 바다의 사막화라 불리는 백화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백화현상

백화현상이란 연안 암반 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흰색의 석회 조류가 달라붙어 암반 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바다의 사막화라고도 하며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 일부나 전부가 고사, 유실되고 해저는 불모 상태로 되어 해저 밭을 살아가는 정착성 생물이 감소하는 현상이라고도 한다. 발생원인으로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는 난류의 세력확장 등과 같은 해수온의 상승, 매립 간척 등에 의한 부유물 발생 등이 있고 화학적으로는 영얌염 부족으로 인한 해조류 경쟁 약화, 석회조류 경쟁 우세를 통한 생태지위 역전, 수질 오염 증가가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해조류를 먹는 성게와 같은 동물들의 과도하게 많을 경우를 들 수 있다.

백화현상

백화현상 해결방안

백화현상의 해결방안에는 바다의 숲이라 불리는 해조 숲을 조성하는 방법이 있다. 해조 숲은 수산생물의 서식처 및 산란장 역할을 하고 해양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 연안 기초 생산력을 증대시켜 준다. 그리고 광합성을 통해 수중,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를 저감시키고 용존산소를 증대하며, 수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등 해양환경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류는 웰빙식품으로 비타민과 미네랄 등 인체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고단백 저열량 식품이 될 수 있으며, 바이오에탄올 등 청정바이오에너지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약품,식용,산업용 등 유용 기능성 물질(후코이단, 씨놀, 알긴산, 자외선 차단제 등)의 추출원 역할로 중요하므로 해조 숲은 굉장히 중요한 구실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