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맑은 바닷물이 점점 붉은색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적조현상이라 부르는데 적조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많은 피해가 바닷속에서 일어납니다. 이번에는 위험한 검붉은 바다인 적조에 대해 알아보자.
적조란?
해역의 영양염류 및 무기물의 대량유입을 통한 부영양화와 일조량, 수온, 강우에 의한 연안수, 표층 저염화의 염분 저하 그리고 내만성, 폐쇄성에 따른 상하층 대류의 감소를 통해 남조류,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대량번식으로 해역의 색깔이 바뀌게 되는 현상을 적조라고 한다.
적조의 원인생물과 최적의 생육환경
적조의 원인생물로는 주로 규조류와 편모조류가 있다. 규조류는 수온이 낮을 때도 잘 번식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계절에 다른 원인생물들보다 우세를 점한다. 그리고 영양분이 적은 맑은 해역에서도 규조류는 다른 원인생물들에 비해 우세하다. 따라서 규조류는 영양염류의 유입만으로도 대량번식하며 편모조류보다 성장이 기본적으로 빨라 경쟁에서 우세하여 내만성 적조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반면 편모조류는 저염분 상태에서 굉장히 열세를 보이며, 용승역 주변이 최적의 생육환경이다. 규조류가 없는 외양에서 번식을 활발히 하며 규조류가 없는 운동기관을 가지기 때문에 상하운동을 통해 낮에는 표층에서 빛을 흡수하고 밤에는 저층에서 영양염을 흡수하여 외부 유입 없이도 적조를 발생시킬 수 있어 외양성 적조에 영향을 미친다.
적조의 피해
적조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이 있다.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첫째, 대량의 플랑크톤이 발생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량으로 폐사함에 따라 해수 중 유기 물질의 양이 많이 증가하고 세균의 활동에 의한 분해 작용이 진행된다. 이 때 많은 산소를 소모하게 되어 해수 순환이 활발하지 않은 지역은 산소가 고갈 상태에 이르게 된다.
무산소 환경은 어류 및 저서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태계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대량의 폐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둘째, 적조의 원인생물인 와편모조류는 다량의 점액질을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종류가 많은데 이는 어패류의 호흡기관에 부착되어 어패류를 질식시키기도 한다. 셋째, 적조 생물의 폐사 후 많은 세균이 번성하면 세균 자체와 세균에 의해 분비되는 독성물질이 어패류의 치사를 일으킨다. 넷째, 대부분의 와편모조류는 다양한 유독 물질을 생산할 수 있고, 이 유독 물질은 신경과 근육을 마비시키고 호흡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다음 간접적인 피해로는 생산성 감소와 2차 피해가 있는데 회유어의 도피와 재생산 부진, 광투과 감소에 따른 생산성 감소와 수산물 가치하락, 식중독 등의 2차 피해를 간접적인 피해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방 및 피해저감방안
적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적으로 영양염류의 유입을 조절, 해저 퇴적 유기물을 제거하여 부영양화를 차단하고, 원인생물의 생리특성을 파악하여 생물학적 대처를 한다. 그리고 양식쿼터제, 휴식년제 등을 통해 밀식을 방지한다. 사후적으로는 황토 살포, 생물학적 방제, 저질 개선 등이 있다.
'사회,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게 물든 바다, 유류오염 (0) | 2024.06.01 |
---|---|
기후변화가 일으킨 바다의 변화, 해양산성화 (0) | 2024.05.31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할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 (0) | 2024.05.30 |
바닷속 죽음의 공간, 빈산소 수괴 (1) | 2024.05.30 |
바다의 사막화, 백화현상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