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산, 해양

위험한 바다, 해파리의 습격 ≣ 목차  서론무더운 여름철, 일상을 타파하기 위해 우리는 바다로 많이 떠난다. 하지만 요즘 우리나라 바다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는 생물들이 자주 출현하는데 이번에는 해파리에 대해 알아보자. 해파리해파리는 연체동물문 자포동물강에 속하는 해양 무척추동물입니다. 해파리의 크기는 굉장히 작은 개체부터 지름이 2m 이상의 큰 개체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서식하여 세계 여러 바다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해파리 특징해파리는 눈, 코, 귀, 뇌, 심장 등의 다른 생물개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들이 없습니다. 해파리의 몸체는 주로 젤라틴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산 모양의 몸통과 먹이를 잡아먹는 입, 그리고 촉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영능력(수영하는 능력)은 있긴 하지만 스스로 헤엄치.. 더보기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곳, 조간대 서론해양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 대부분 해양 생물 하면 바닷속에 사는 생물들을 먼저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해양과 육지의 경계선인 곳에도 많은 해양 생물들이 살고 있다. 이번에는 해양과 육지의 경계선 조간대에 대해 알아보고 그 중 암반 조간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조간대란?조간대는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해안에서 해수면이 가장 높아졌을 때의 해면과, 해수면이 가장 낮아졌을 때의 해면 사이를 조간대라고 합니다. 조간대는 해양과 육지의 접점으로 다양한 생태환경이 펼쳐져 있습니다. 조간대는 상부 조간대, 중부 조간대, 하부 조간대로 나뉩니다. 상부 조간대는 대부분 물 밖에 드러난 채로 있는 영역입니다. 중부 조간대는 밀물 때에는 물에 잠겨있고 간조 시에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영역입니다. 하부 .. 더보기
강의 끝자락과 바다의 시작이 만나는, 하구역 서론생물들은 저마다 각자의 환경에 맞는 곳을 찾아 이동하며 그곳에서 생활한다. 육지생물들보다 해양생물들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조금 더 많은 조건의 환경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강의 끝자락과 바다의 시작이 만나는 하구역에 대해 알아보자. 하구역이란?하구역은 기수역이라고도 불리는데, 기수역은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염분 농도가 0.5psu ~ 25psu인 구역을 뜻한다. 기수역의 환경특성으로는 염분농도, 기질, 수온, 파랑&해류, 탁도, 영얌염을 볼 수 있는데 염분농도는 조석으로 인한 해수의 이동, 강우, 건조에 의한 심한 변동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 쉽다. 기질은 해수의 세기, 담수와의 상호작용으로 침강, 퇴적물 분포에 차이를 보인다. 수온은 변동이 매우 심해 기수역에 사는 생.. 더보기
수산 어업인 보조금 지급 정책, 수산 공익직불제 서론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농어촌을 떠나 도시로 향하고 있다. 농어촌의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그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노동력이 부족해지고 생계를 지지할 수 없게 되어는 현상이 지속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을 해결하기 위해 농어업인들을 도와줄 수 있는 여러 정책이 많은데 이번에는 수산 공익직불제에 대해 알아보자. 수산 공익직불제란?수산 공익직불제는 수산업 활동을 통해 생산되는 공익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어업인에게 일정한 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이행한 어업인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수산 공익직불제의 종류에는 경영 이양 직불제, 조건이 불리한 지역 직불제, 수산자원보호 직불제, 친환경수산물생산지원 직불제가 있다.수산 공익직불제의 종류1. 경영 이양 직불제 : 어촌공동체 유지 및 활성화 도모를.. 더보기
자유로운 물속생활, 어류의 부유기작 서론수영을 처음 배우다 보면 물에 뜨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 몸에 힘을 빼면 물에 뜬다고 하지만 무서운 마음에 몸이 잘 따라 주지 않는다. 해양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은 어떻게 물에 떠 있는 것일까? 이번에는 해양 생물 중 어류의 부유기작에 대해 알아보자. 유영생물의 부력 조절을 위한 적응기작먼저 유영생물이란 바닷물 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고 다니는 생물체의 집합이다. 이들은 부레, 지방축적, 체액 조정, 지느러미 활용 등을 통해 물속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1. 부레 : 부레를 통한 부력을 얻는 어류는 무관표 어류와 유관표 어류로 나눌 수 있다. 무관표 어류는 기체 확산을 통해 부유하게 되는데 가스 샘에서 가스 분비 후 난원샘을 이용하여 가스를 확산하여 부레로 가스를 이동시키고 이후 부레 내 가스를 .. 더보기
나 다시 돌아갈래! 어류의 회유 서론살면서 여러 가지 많은 사유로 인해 살고 있었던 원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거처를 옮겨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고기들 역시 태어난 장소와 살아가는 장소가 다른 물고기들이 많은 데, 이번에는 물고기들의 회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유란?회유는 물고기 등이 한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떼를 지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동은 바닷물의 흐름 등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물고기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는습니다. 회유의 종류 및 설명회유에는 유기회유, 성육회유, 산란회유, 색이회유가 있습니다.1. 유기회유 : 유기회유는 자어 및 치어가 산란장에서 성육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유영 능력이 미비하거나 제한되어 있으므로 해류에 따라 표류하면서 산란장으로부터 성육장에 도.. 더보기
먹을 수 있는 바닷물, 해양 심층수 서론우리가 먹는 물의 수원지는 대부분 육지이다. 하지만 바닷속에도 우리가 사용하고 먹을 수 있는 물이 많이 있다. 이번에는 먹을 수 있는 바닷물 해양 심층수에 대해 알아보자. 해양 심층수의 기원과 특성해양 심층수는 수심 200m 이하의 빛이 도달하지 않는 층의 해수이다. 북극 해수가 온도, 염분 차이로 침강한 것으로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등 심층순환대를 따라 이동한 것을 기원으로 한다. 해양 심층수의 특성으로는 저온성, 부영양성, 청정성, 수질 안정성이 있다. 먼저 저온성은 연중 2도 이하의 안정적인 저온을 유지하는 저수온의 해수이다. 그다음으로 부영양성으로는 해양식물의 생장원인인 무기영양염이 풍부한 해수를 뜻하며, 청정성은 병원균과 유해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해수, 마지막으로 수질 안정성은 수질의 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