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서론
무더운 여름철, 일상을 타파하기 위해 우리는 바다로 많이 떠난다. 하지만 요즘 우리나라 바다에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는 생물들이 자주 출현하는데 이번에는 해파리에 대해 알아보자.
해파리
해파리는 연체동물문 자포동물강에 속하는 해양 무척추동물입니다. 해파리의 크기는 굉장히 작은 개체부터 지름이 2m 이상의 큰 개체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다양한 해양환경에서 서식하여 세계 여러 바다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해파리 특징
해파리는 눈, 코, 귀, 뇌, 심장 등의 다른 생물개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들이 없습니다. 해파리의 몸체는 주로 젤라틴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산 모양의 몸통과 먹이를 잡아먹는 입, 그리고 촉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영능력(수영하는 능력)은 있긴 하지만 스스로 헤엄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바닷물의 흐름에 따라 부유하는 생물입니다. 한편 해파리는 주로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생활하는데, 입으로 먹이를 먹은 후 소화기관을 통해 소화를 시킬 수 있지만, 배설기관이 없어서 다시 입으로 배설물을 배출하게 됩니다. 가장자리에는 여러 개의 촉수가 있으며, 촉수에는 독성이 있는 자포세포가 있어 이를 통해 먹이를 잡거나 방어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해파리의 생태학적 역할
자연에서 먹이사슬 구조는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먹이사슬 구조가 무너지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생태계는 자연적으로 소멸하게 됩니다. 해파리는 해양 생태계에서 먹이사슬에서 최약체인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성장하지만, 바다거북, 일부 물고기, 펭귄, 조류 등에 먹히며 이들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중간 연결 역할을 합니다. 다른 역할로는 해파리의 출현으로 해양 환경의 변화를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되어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정 지역에 많은 해파리 출현은 과도한 어업이나 해양 오염이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해파리 위험성
최근들어 우리나라 해안 주변에도 해파리가 급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해파리의 급증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수온상승, 남획으로 인한 천적감소, 수중 인공구조물 증가에 따른 해파리 부착유생의 부착면적 확대, 해양 오염으로 인한 부영양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수온상은은 우리나라 남쪽에서의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와 북쪽에서의 북한 한류로 인해 어장이 형성되는데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쿠로시오 해류의 대마난류의 세력이 더욱 강해져 이러한 영향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해파리가 급증하는 원인이 됩니다. 그다음으로 남획에 의한 천적감소인데, 해파리의 천적인 쥐치와 말쥐치 등의 남획으로 인한 천적감소가 해파리의 급증 원인이 되며, 그다음으로 수중 인공구조물 증가로 인한 해파리 부착유생의 부착면적 확대되어 더 많은 해파리가 탄생하게 되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해양의 부영양화로 인한 플랑크톤의 증가로 먹이가 급증하게 되어 더 풍요로운 환경에 노출되어 이에 따른 해파리의 증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 중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물해파리 등은 해양 외래종으로 생태계의 불균형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해안 주변에서 피서를 즐기는 관광객들에게 해파리 쏘임 사고 등으로 가벼운 통증과 가려움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심할 경우 심각한 통증과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어 각별한 신경이 필요합니다.
해파리 대처 방법
해파리의 급증을 막기 위해서는 수온 회복을 통한 해파리의 서식환경을 불편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이 있으며 폴립(부착유생)을 제거하여 해파리 개체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퇴적 오염물을 제거하여 부영양화를 감소시켜 수온 회복과 마찬가지로 환경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직접 제거하는 방법이나 쥐치 등과 같은 천적 살포를 통해 개체 수를 줄이는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 해파리에 쏘인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해파리에 쏘여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구토, 두통, 통증 등이 있으며 증상이 심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해파리에 쏘여 독에 노출되었을 때는 응급처리로는 절대 알코올 종류의 세척제는 사용을 금하며 식염수나 바닷물로 상처 부위를 씻어주며 세척 후에도 촉수가 남아 있으면 신용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막대로 촉수를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 ▼ ▼ 같이보면 좋은글 ▼ ▼ ▼
토종 생물들을 위협하는, 외래종
서론점차 세계는 시간과 공간의 거리감각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 구할 수 있고, 또 우리에게 있는 무엇이든 팔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이 때문에
eightzero.tistory.com
바다의 사막화, 백화현상
서론무더운 여름철 우리는 더위를 피하고자 들뜬 마음으로 바다와 해수욕장을 찾아간다. 바다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곳이며 많은 생물이 살아가고 있는 터전이다. 이런 바다와 전혀 어울
eightzero.tistory.com
'수산, 해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곳, 조간대 (0) | 2024.06.22 |
---|---|
강의 끝자락과 바다의 시작이 만나는, 하구역 (0) | 2024.06.13 |
수산 어업인 보조금 지급 정책, 수산 공익직불제 (0) | 2024.06.13 |
자유로운 물속생활, 어류의 부유기작 (0) | 2024.06.11 |
나 다시 돌아갈래! 어류의 회유 (0) | 2024.06.08 |